티스토리 뷰

바리스타 자격증 따고 뭐하지? 취업부터 SCA까지 진로 정리

 

카페 문화가 일상이 된 요즘, 바리스타 자격증을 준비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고 있습니다.
단순히 커피를 내리는 기술을 넘어서, 자격증을 기반으로 취업, 창업, 해외 진출까지 다양한 진로가 열려 있습니다.
커피를 좋아하는 마음으로 시작한 공부가 직업이자 삶의 방향이 될 수 있도록, 지금부터 차근차근 확인해 보세요.

바리스타 자격증으로 할 수 있는 일

바리스타 자격증 교육 장면 에스프레소 추출 실습 중인 바리스타 커피 머신 앞에 선 바리스타 수강생
  • 카페 바리스타로 취업
    프랜차이즈 매장, 개인카페, 호텔 라운지 등 다양한 환경에서 바리스타로 일할 수 있습니다. 초보자의 경우 2급 자격증으로도 입문이 가능해요.
  • 커피 관련 교육기관의 보조 강사
    경험을 쌓고 상위 자격을 취득하면, 바리스타 학원이나 직업훈련기관에서 강사로 일할 기회도 생깁니다.
  • 커피 전문점 창업 준비
    자격증은 창업에 필수는 아니지만, 커피 맛의 기본을 이해하고 브루잉 방식 등을 실습해 본 이력으로 신뢰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자격증은 ‘끝’이 아닌 ‘시작’입니다. 이후 경력과 실력을 어떻게 쌓느냐에 따라 다양한 길이 열릴 수 있습니다.


카페 취업, 어디까지 가능한가요?

바리스타 자격증 실기 시험 장면 커피 라떼아트를 연습하는 바리스타 수강생 SCA 자격 과정 교육 현장

 

바리스타 자격증이 있으면 바로 취업이 가능할까?
결론부터 말하면, 자격증은 취업의 ‘필수 조건’은 아니지만, 입문자에겐 큰 강점이 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프랜차이즈 카페(스타벅스, 투썸, 이디야 등)는 자체 교육 시스템이 있기 때문에 자격증 여부보다는 서비스 마인드와 성실함을 더 중요하게 봅니다.
하지만 개인 카페, 로컬 스페셜티 카페의 경우에는 바리스타 자격증, 추출 경험, 라테아트 가능 여부 등을 고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프랜차이즈 취업
      입사 후 교육을 통해 커피 추출을 배우므로, 자격증 없이도 지원 가능
      → 하지만 자격증이 있으면 입사 후 빠르게 적응하거나 면접 시 긍정적 인상 줄 수 있음
    • 개인 카페/스페셜티 취업
      추출 스킬, 라테아트, 손의 감각이 중요
      → 자격증 + 실습 경험이 클수록 유리
    • 호텔·디저트카페 등 고급 업장
      바리스타 1급, 실무 경력, 위생교육 이수 등 상세한 조건 요구 가능

팁: 자격증과 함께 간단한 포트폴리오나 사진/영상을 함께 제출하면 차별화에 도움이 됩니다.


창업으로 이어지는 커피 경력

커피 원두를 정리하는 바리스타 바리스타의 핸드드립 실습 장면 바리스타 자격증 취득 후 커피 추출 시연

바리스타 자격증은 커피를 배우는 출발점이지만, 창업까지 이어지는 현실적인 경력의 일부가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요즘은 소규모 개인 카페를 꿈꾸는 분들이 많아, 자격증 취득 후 직접 창업을 목표로 준비하는 사례도 늘고 있죠.

자격증이 창업을 보장해주진 않지만, 브루잉 방식, 재료 이해, 커피 원두 지식은 확실히 도움이 됩니다. 또한 창업 전 실제 카페에서 일하면서 매장 운영 감각을 익히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단계입니다.

  • 자격증 + 실무 경험 = 창업 자신감
    카페 근무를 통해 동선, 고객 응대, 재고 관리까지 익혀두면 창업 이후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습니다.
  • 나만의 시그니처 메뉴 개발
    커피 레시피 응용 능력은 자격증 커리큘럼에 기반하여 실무에서 더 탄탄해질 수 있습니다.
  • 메뉴 기획, 머신 선택 등 실전 지식
    실습 경험이 있으면 머신 세팅, 그라인더 선택, 원두 로테이션 등에서도 훨씬 수월하게 의사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한 줄 정리: 자격증 → 실무 경험 → 창업, 이 흐름이 가장 탄탄하고 실패 확률이 낮은 창업 루트입니다.


SCA 자격증이란? 국내 자격과의 차이

바리스타가 커피잔을 세팅하는 장면 바리스타 실습 중 음료 제조 모습 카페 바리스타 자격증 수업 현장

SCA(Specialty Coffee Association) 자격증은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국제 커피 전문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국내 민간 바리스타 자격증과 달리, 표준화된 커리큘럼과 단계별 인증 시스템을 통해 더 체계적인 학습이 가능합니다.

SCA 자격증은 다음과 같이 분야별로 나뉘며, 각각 Foundation(입문), Intermediate(중급), Professional(고급)의 3단계로 구성됩니다.

  • 바리스타 스킬(Barista Skills) – 에스프레소 추출, 우유 스티밍 등
  • 브루잉(Brewing) – 핸드드립, 필터커피 등 추출 방식 이해
  • 센서리(Sensory Skills) – 커피 맛과 향 평가
  • 로스팅(Roasting) – 원두 볶는 기술
  • 그린 커피(Green Coffee) – 생두 품질, 유통 등

반면 국내 자격증(예: 한국커피협회, 대한바리스타협회 등)은 대부분 실기 위주의 교육과 시험이 중심입니다.
입문자에게는 진입장벽이 낮지만, 국제적으로는 공신력이 낮은 편입니다.

정리하자면: 국내 자격증은 입문용, SCA는 전문가 또는 해외 진출을 목표로 하는 분에게 적합합니다.


바리스타의 미래, 어떤 길이 있을까?

 

바리스타는 단순한 직업을 넘어, 이제는 하나의 전문 직업군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커피 산업의 성장과 함께 바리스타의 활동 범위도 점점 넓어지고 있죠.

  • 스페셜티 커피 전문가
    원두의 품질과 향미를 평가하고, 고급 커피 시장에서 활동하는 ‘큐그레이더’, ‘감별사’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 로스터 또는 카페 매니저
    로스팅 기술을 익혀 원두를 직접 생산하거나, 매장 운영을 총괄하는 리더로 진출할 수 있습니다.
  • 바리스타 강사 또는 심사위원
    일정 경력과 상위 자격증을 갖추면, 교육기관에서 강의하거나 각종 커피 대회 심사 활동도 가능합니다.
  • 해외 취업 또는 국제 대회 출전
    SCA 자격증과 영어 능력을 바탕으로, 해외에서 바리스타로 활동하거나 월드 바리스타 챔피언십(WBC)에도 도전할 수 있습니다.

바리스타 자격증은 단순한 자격이 아닌 커피 전문가로 성장하는 첫 관문입니다.
당신의‘ 커피여정을‘진심으로‘응원합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